간염(Hepatitis)이란 무엇일까요?
간염은 독소를 걸러내고, 영양소를 처리하고,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기관인 간의 염증을 의학 용어로 일컫습니다. 간염은 알코올 남용, 자가면역 반응 또는 독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지만, 바이러스성 간염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A형, B형, C형, D형, E형의 다섯 가지 주요 바이러스성 간염 유형은 전염 방식, 임상 경과 및 치료 방법이 상당히 다릅니다. 만성 간염, 특히 B형과 C형 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간경변, 간부전, 간세포암(HCC; HepatoCellular Carcinoma)의 주요 원인입니다.

간염의 유형 및 원인
간염, 즉 간의 염증에는 여러 원인이 있으며, 각 원인마다 고유한 생물학적 기전과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간염을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시키지만, 여러 가지 비감염성 원인 또한 간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바이러스 감염(전 세계적으로 간염의 주요 원인)
가장 잘 알려진 감염 유형은 A형, B형, C형, D형, E형 등 다섯 가지 특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각 바이러스는 서로 다른 전파 경로와 임상 양상을 보입니다.
- A형 간염(HAV) :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는 분변-구강 경로를 통해 전파됩니다.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형태는 급성, 자가 제한적 질환이며, 만성 형태는 없습니다.
- B형 간염(HBV) : 성 접촉, 정맥 약물 사용, 수직 감염(모체에서 아기로) 등 혈액과 체액을 통해 전파됩니다. 급성 또는 만성일 수 있고, 만성 HBV는 전 세계 2억 5천만 명 이상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 C형 간염(HCV) : 주로 혈액을 통해 전파됩니다. 주요 전파 경로로는 안전하지 않은 주사, 주사 바늘 공유, 수혈(1992년 이전의 안전하지 않은 수혈) 등이 있습니다. 70~85%의 경우 만성화됩니다.
- D형 간염(HDV) : HBV와 동시 감염되는 결함이 있는 바이러스입니다. B형 간염과 유사하게 전파됩니다. 간경변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가장 심각한 형태의 바이러스성 간염을 유발합니다.
- E형 간염(HEV) : HAV처럼 분변-구강 경로를 통해 전파됩니다. 오염된 물이 있는 지역에서 발병이 자주 발생합니다. 임산부는 특히 고위험군이며, 임신 3기 사망률이 최대 25%에 달합니다. 일반적으로 급성이며 자연 치유됩니다. 만성 사례는 드물지만 면역 저하 환자에게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알코올성 간염
장기간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간세포에 염증과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간염은 이러한 행동이 지속될 경우 알코올성 간경변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요 위험 요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과도한 음주 또는 만성 알코올 섭취
- 영양실조
- 알코올 대사 장애에 대한 유전적 소인
3. 자가면역성 간염
이 경우, 신체의 면역 체계는 간세포를 위협 요소로 오인하여 공격합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간경변, 간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유발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유전적 감수성
- 바이러스 감염
- 특정 약물 또는 독소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면역억제 요법(예: azathioprine)이 포함됩니다.
4. 약물 유발 간염
독성 간염이라고도 하며, 약물 유발 간염은 급성으로 나타나거나 장기간 사용 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 처방약(예: acetaminophen 과다 복용, methotrexate, isoniazid)
- 생약 보충제(예: 카바, 녹차 추출물)
- 불법 약물
5.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스펙트럼의 일부인 NASH는 알코올이 아닌 지방 축적과 관련된 간의 염증입니다. 다음과 같은 환자에게 흔하게 나타납니다.
- 비만
- 제2형 당뇨병
- 대사 증후군
전 세계적으로 간염 및 간 이식의 원인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6. 기타 감염 및 질환
다른 전신 감염이나 질병도 간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거대세포바이러스(CMV; Cytomegalovirus),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Epstein-Barr Virus), 단순 포진 바이러스(HSV; Herpes Simplex Virus)
- 윌슨병(구리 대사 장애)
- 혈색소침착증(철분 과다)
- 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
간염은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단일 진단이 아닙니다. 흔한 바이러스 감염부터 자가면역, 독성, 대사적 원인까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근본적인 원인을 이해하는 것은 적절한 치료 전략을 수립하고 간경변이나 간암과 같은 장기적인 간 손상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간염의 일반적인 증상
- 피로 및 쇠약
- 식욕 감퇴
- 메스꺼움 및 구토
- 복통(특히 오른쪽 상복부)
- 짙은 소변 및 옅은 변
- 황달(피부와 눈이 노랗게 변함)
만성 간염은 종종 증상 없이 나타나므로 고위험군에서는 검진이 필수적입니다.
진단 및 모니터링
- 혈액 검사 : 간 효소(ALT, AST), 빌리루빈, 알부민 및 응고 프로파일
- 바이러스 마커 : HBsAg, 항HCV, HDV 항체, HEV RNA 등
- 영상 검사 : 섬유화 또는 간경변을 평가하기 위한 초음파 또는 섬유화 스캔
- 간 생검 : 불분명한 경우 병기 분류에 때때로 생검 검사를 시행합니다.
간염의 치료 및 전망
간염 치료는 원인, 질병 단계, 환자 상태에 따라 매우 개별화되어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는 간염의 유형과 심각도, 급성인지 만성인지, 그리고 원인이 바이러스성인지, 자가면역 질환인지, 알코올 유발성인지, 약물 관련인지에 따라 전적으로 달라집니다.
1. A형 간염(HAV)
- A형 간염은 자연적으로 호전되며, 대부분의 환자는 몇 주 내에 합병증 없이 회복됩니다.
- 지지 요법만 시행합니다 : 휴식, 수분 공급, 항구토제, 영양 공급.
- 중증 환자(특히 고령자 또는 간 기능 저하 환자)는 입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예방 :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이 있으며, 여행자, 의료 종사자 및 발병 지역 거주자에게 권장됩니다.
2. B형 간염(HBV)
1) 급성 B형 간염 : 일반적으로 지지 요법으로 관리합니다. 급성 간염이 아닌 이상 항바이러스제는 거의 필요하지 않습니다.
2) 만성 B형 간염 치료 : 만성 감염은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고 간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장기적인 항바이러스 요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1차 항바이러스제 : 테노포비르(TDF 또는 TAF), 엔테카비르
- 정기적인 모니터링 : 간 효소 검사, HBV DNA 수치 측정, HCC 선별 검사를 위한 6개월마다 초음파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예방 : 신생아를 포함한 모든 연령대의 B형 간염 예방 접종은 95% 이상의 효과를 보입니다.
3. C형 간염(HCV)
지난 10년 동안 HCV 치료 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했습니다.
1) 직접 작용 항바이러스제(DAA; Direct-Acting Antivirals)
- Sofosbuvir / velpatasvir
- Glecaprevir / pibrentasvir
- Ledipasvir / sofosbu
2) 모니터링 : 치료 후 12주 동안 지속 바이러스 반응(SVR) 검사를 실시합니다. 간경변이 있는 경우 완치 후에도 지속적인 간세포암(HCC) 감시를 실시합니다.
현재 백신이 없으므로, 선별 검사 및 위해 감소(예: 안전한 주사 방법)가 중요합니다.
4. D형 간염(HDV)
HDV는 HBV와 동시 감염되므로 두 바이러스 모두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페길화 인터페론 알파(Peg-IFN) 48주 치료가 유일하게 승인된 치료법이며, 효능이 제한적입니다.
- 임상 중인 새로운 치료 : 유망한 진입 억제제인 불레비르티드(Bulevirtide)가 일부 지역에서 승인되었습니다.
모니터링을 위해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 HDV RNA 수치 및 섬유증 평가를 시행합니다.
5. E형 간염(HEV)
HAV처럼 일반적으로 자연적으로 회복됩니다.
- 지지 요법이 주된 치료입니다.
- 고위험군(예: 임산부 또는 면역 저하 환자)은 입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리바비린(Ribavirin)은 중증 또는 만성 질환(특히 이식 환자)에 허가 외(off-label)로 사용되었습니다.
중국에서 승인된 백신(HEV 239)이 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널리 사용되지 않습니다.
6. 자가면역 간염(AIH; Autoimmune Hepatitis)
AIH는 장기적인 면역억제 요법이 필요합니다.
- 유도 요법 : 프레드니손(Prednisone) 또는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 유지 요법 :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 기타 옵션 :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Mycophenolate mofetil), 1차 치료제에 내약성이 없는 경우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정기적인 간 효소 검사, 면역글로불린(IgG) 수치 측정, 그리고 섬유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생검 또는 탄성파 촬영술을 시행합니다.
7. 알코올성 간염
- 금주가 가장 중요합니다.
- 영양 지원 및 비타민 보충(특히 티아민)
- 중증 환자(매드리 판별 함수; Maddrey’s Discriminant Function >32)에게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예: 프레드니솔론)
회복을 위해서는 알코올 금단 프로그램(예: AA; Alcholics Anonymous, 상담) 참여가 필수적입니다.
8. 약물 유발성 간염
- 원인 물질을 즉시 중단합니다.
- 지지 요법을 시행하고, 경우에 따라 N-아세틸시스테인(특히 아세트아미노펜 독성 환자)을 투여합니다.
회복을 평가하기 위해 간 효소 및 응고 지표를 면밀히 추적 관찰합니다.
그 외에 간 이식의 경우는 진행성 간부전 또는 간암에서 고려되고, 새로운 치료법으로 HBV 치료법 및 HDV와 HEV에 대한 신약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결론
간염은 단일 질환이 아니라 간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여러 질환의 집합체입니다. 의학의 발전 덕분에 많은 유형, 특히 C형 간염은 이제 치료가 가능하며, B형 간염과 같은 다른 유형은 평생 관리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 생활 습관 개선, 예방 백신 접종, 그리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치료를 통해 증상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간염의 증상이 발견되면, 소화기 전문의 진료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건강 관련 질환'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간(Fatty Liver)의 원인, 증상, 단계진단 및 치료 (4) | 2025.05.15 |
---|---|
간경변(LC; Liver Cirrhosis)의 원인, 증상, 단계, 진단 및 치료 (2) | 2025.05.14 |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Disease) :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0) | 2025.05.12 |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0) | 2025.05.10 |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0) | 2025.05.09 |